본문 바로가기
*경제 지식*

금융소득종합과세 계산법과 대상자 기준 총정리

by 돈 많은 곰돌이정 2025. 4. 10.
반응형

금융소득이 많아졌다면 세금은 어떻게 달라질까요? 2천만 원을 기준으로 달라지는 금융소득종합과세, 지금 정확히 알아두면 5월 종합소득세 신고에도 대비할 수 있어요.


금융소득이 생기면 무조건 세금을 더 내야 하나요?

은행 이자, 배당금, 펀드 수익금처럼 조금씩 모은 금융소득이 어느 순간 꽤 커지면 문득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어요.
“이거 나중에 세금 폭탄 맞는 거 아니야?”

 

특히 1년 동안 발생한 금융소득이 2,000만 원을 넘게 되면
금융소득종합과세라는 생소한 세금 제도가 등장하죠.

 

알고보면 절세도 가능한 이 제도, 복잡하게 느껴졌다면 오늘 제대로 이해해보세요.

 

출처 : 유튜브

아래 이미지를 클릭 하시면 유튜브 영상으로 연결 됩니다.

 

5월 소득세 신고 관련 영상
5월 소득세 신고 관련 영상


이럴 때 금융소득종합과세가 적용돼요

반응형

금융소득의 범위는?

  • 이자소득: 예·적금, 채권, 보험 계약에서 발생한 이자
  • 배당소득: 주식, 펀드, 리츠 등에서 받은 배당금

이 두 가지를 합쳐 '금융소득'이라고 합니다.
이 금융소득이 1년 합산 2천만 원 이하일 경우엔 그냥 원천징수(15.4%)로 과세 끝!
그런데 2천만 원을 초과하면 얘기가 달라져요.


금융소득 2천만원 기준선
금융소득 2천만원 기준선

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시, 어떻게 과세되나요?

  • 금융소득이 2천만 원 초과
    → 근로소득, 사업소득 등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종합과세
    → 누진세율 6.6% ~ 49.5% 적용

즉, 금융소득만 많다고 해서 세금을 무조건 더 내는 건 아니지만,
다른 소득이 많을수록 누진세율이 높아져 추가 세부담이 생길 수 있어요.


금융소득만 있는 경우는?

종합과세 세부담 기준선은?

종합과세가 적용된다고 해도, 모든 금융소득이 다 과세되는 건 아니에요.


예를 들어, 다른 소득 없이 금융소득만 있다면7,760만 원까지는 추가 세부담이 없습니다.

 

이 기준선은 근로소득공제, 기본공제, 세액공제 등을 적용한 뒤 계산된 결과예요.
다만 본인의 다른 소득이 있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으니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.


금융소득종합과세, 내가 대상자일까?

대상자 확인 방법

  • 작년 한 해 금융소득이 2천만 원 초과했는지 확인
  • 은행, 증권사에서 발급받은 금융소득내역서원천징수영수증 확인
  •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종합소득세 신고 필수

특히 고액 예금 보유자, 배당금 수령이 많은 주식 투자자, 펀드 수익자는 대상 가능성이 높아요.


종합과세 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
종합과세 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


미리 준비하면 절세 전략도 가능해요

  • 금융소득을 분산해 2천만 원 이하로 관리
  • 가족 명의 계좌 활용해 소득 분산 (단, 증여세 유의)
  • 이자·배당 수령 시기 조절해 연도별 분산
  • 절세상품 활용 (예: 비과세 종합저축, ISA 등)

이렇게 계획적으로 움직이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서 벗어나거나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.


소득구간별로 달라지는 절세 포인트도 기억하세요

  • 금융소득만 있고 총액이 2천만 원 이하라면 → 걱정 없이 원천징수로 종결
  • 다른 소득까지 포함한 종합소득이 많다면 → 절세상품이나 소득분산 전략이 중요
  • 고액 자산가라면 연말 전에 금융기관과 상담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

늘어난 금융소득이 마냥 반가운 일만은 아닐 수 있어요.


하지만 제대로 이해하고 미리 준비하면 세금에 당황하지 않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.
올해 금융소득이 많았다면,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전에 지금부터라도 준비해보세요.

반응형